출처 : http://kin.naver.com/detail/detail.php?d1id=1&dir_id=109&eid=AflE1+jL2y9YvOZQ6wm7ukI48DEQncLq&qb=dGFibGUgYm9yZGVy&pid=fbb3lsoQsCdsscDF4sdsss--439291&sid=SGGzQJN8YUgAAGCWO5Y
▣원어 : TABLE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함
본문 내에 표를 만드는 태그입니다.
가장 많이 쓰이는 태그 이며, 홈페이지 내에서 많은 응용력을 필요로 합니다. 이 태그만 잘 사용해도 홈페이지 분위기가 확~~아주 중요한 태그입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)
-----표의 정렬 상태를 설정 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backgroungd="이미지 파일 경로"
-----배경이 될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해 줍니다. 3.0, 4.0 이상
• bg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배경 색상을 지정해 줍니다. 3.0, 3.0 이상
• border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의 색상을 지정해 줍니다. 3.0, 3.0 이상
• border="픽셀"
-----표의 외곽선의 두께를 설정하며, 값이 "0"이면 외곽선이 보이지 않습니다.
• bordercolordark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을 3차원으로 만들때 사용되는 어두운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light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을 3차원으로 만들 때 사용되는 밝은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cellpadding="픽셀"
-----셀 경계와 셀 안의 내용과의 간격을 지정 3.0, 3.0 이상
• cellspacing="픽셀"
-----셀과 셀 사이의 간격을 지정 3.0, 3.0 이상
• cols="숫자"
-----표에 들어갈 열의 개수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, 4.0 이상
• frame="값" (값 = above / below / border / hsides / Lhs / rhs / vside / void)
-----표 외곽선의 형태를 지정 border="1" 이상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3.0 이상
above | 바깥쪽 경계선 중 윗쪽만 나타남 |
below | 바깥쪽 경계선 중 아래쪽만 나타남 |
border | 기본적인 외곽선 |
hsides | 바깥쪽 경계선 중 위아래만 나타남 |
Lhs | 바깥쪽 경계선 중 왼쪽만 나타남 |
rhs | 바깥쪽 경계선 중 오른쪽만 나타남 |
vside | 바깥쪽 경계선 중 좌우만 나타남 |
void | 외곽선이 나타 나지 않습니다. |
• height="픽셀"
-----표의 높이를 설정
• hspace="픽셀"
-----표 위아래로 표 외곽 내용들과의 간격을 설정합니다. 3.0 이상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rules="값" (값 = cols / rows / none / all / group)
-----표에서 셀 사이에 경계선을 설정합니다. 3.0 이상
cols | 열 사이의 경계선만 그린다. |
rows | 행들 사이의 경계선만 그린다. |
none | 표 외곽선을 제외한 내부 셀 경계를 모두 지운다. |
all | 표 외곽선을 포함한 내부 셀 경계를 모두 그린다. |
group | <TBODY>, <TFOOT>등 그룹들 안의 경계선을설정 |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title="제목"
-----해당 문자에 부여할 텍스트를 입력. 브라우저에서는 풍선 도움말로 표시 4.0, 4.0 이상
• width="픽셀/(%)"
-----표의 너비를 설정 하며, 브라우저를 대비한 비율을 퍼센트로 사용 하기도 합니다.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TABLE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style="border: #000000 1px solid"> <caption align="TOP">style="border: #000000 1px solid"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0"> <caption align="TOP">BORDER="0"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BORDER="1"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4"> <caption align="TOP">BORDER="4"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<html> <head> <title>TABLE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 width="500" bgcolor="#999999"> <caption align="TOP">WIDTH="500" bgcolor="#999999"</caption> <tr><td>a</td><td>b</td><td>c</td></tr> <tr><td>x</td><td>y</td><td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width=80%> <caption align="TOP">WIDTH=80% (500px의 80%)</caption> <tr><td>a</td><td>b</td><td>c</td></tr> <tr><td>x</td><td>y</td><td>z</td>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|
<html> <head> <title>TABLE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 > <caption align="TOP">FRAME 속성을 사용하지 않을 때 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VOID> <caption align="TOP">FRAME=VOID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BORDER> <caption align="TOP">FRAME=BORDER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ABOVE> <caption align="TOP">FRAME=ABOVE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BELOW> <caption align="TOP">FRAME=BELOW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<html> <head> <title>TABLE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 frame=HSIDES> <caption align="TOP">FRAME=HSIDES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LHS> <caption align="TOP">FRAME=LHS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RHS> <caption align="TOP">FRAME=RHS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frame=VSIDES> <caption align="TOP">FRAME=VSIDES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 BOX> <caption align="TOP">FRAME=BOX</caption> <tr><td width="150">a</td><td width="150">b</td><td width="150">c</td> </tr> <tr><td width="150">x</td><td width="150">y</td><td width="150">z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a | b | c |
x | y | z |
▣원어 : Table Row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표의 행을 만드는 태그 입니다.
<TABLE>안에 들어가며 <TR>태그가 들어갈 때 마다 행이 바뀌고 이 태그 안에는 <TD>가 들어가 셀을 만들어 줍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 / justify / char)
-----행에 들어갈 내용의 정렬 상태를 설정 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bg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배경 색상을 지정해 줍니다. 3.0, 3.0 이상
• border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의 색상을 지정해 줍니다. 3.0 이상
• bordercolordark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을 3차원으로 만들때 사용되는 어두운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light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표의 외곽선을 3차원으로 만들 때 사용되는 밝은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, 4.0 이상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title="제목"
-----해당 문자에 부여할 텍스트를 입력. 브라우저에서는 풍선 도움말로 표시 4.0, 4.0 이상
• nowrap
-----한 행의 줄바꿈 기능을 해제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행에 들어가는 내용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를 기준으로 설정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TR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표에 행을 삽입한다. 즉 TR 태그가 삽입이 될 때마다 행이 바뀐다.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TR 태그의 정렬방식</caption> <tr align="left" valign="top"> <th colspan="3" align="CENTER">정렬방식</th> </tr> <tr align="left" valign="top"> <td width="200" height="50">LEFT, TOP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middle">LEFT, MIDDLE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bottom">LEFT, BOTTOM</td> </tr> <tr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top">CENTER, TOP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>CENTER, MIDDLE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bottom">CENTER, BOTTOM</td> </tr> <tr align="right" valign="bottom"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top">RIGHT, TOP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 valign="middle">RIGHT, MIDDLE</td> <td width="200" height="50">RIGHT, BOTTOM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표에 행을 삽입 합니다. 즉 TR 태그가 삽입이 될 때마다 행이 바뀝니다.
정렬방식 | ||
---|---|---|
LEFT, TOP | LEFT, MIDDLE | LEFT, BOTTOM |
CENTER, TOP | CENTER, MIDDLE | CENTER, BOTTOM |
RIGHT, TOP | RIGHT, MIDDLE | RIGHT, BOTTOM |
▣원어 : Table Data cell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표 내에 셀을 삽입 하며, <TD> 태그는 반드시 <TR> 태그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 / justify / char)
-----행에 들어갈 내용의 정렬 상태를 설정 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axis="셀 이름"
-----셀의 이름을 설정합니다. IE40, 4.0 이상
• axes="관련 내용"
-----셀의 내용과 부합하는 이름을 나열합니다. IE40, 4.0 이상
• backgroungd="이미지 파일 경로"
-----셀 안에 배경이 될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 3.0, 4.0 이상
• bg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의 배경 색상을 지정 3.0, 3.0 이상
• border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에 색상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dark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을 3차원으로 만들때 사용되는 어두운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light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을 3차원으로 만들 때 사용되는 밝은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, 4.0 이상
• colspan="숫자"
-----두개 이상의 열의 공간을 하나의 열로 만들 때 사용 3.0, 3.0 이상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rowspan="숫자"
----두개 이상의 행의 공간을 하나의 행으로 만들 때 사용. 3.0, 3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title="제목"
-----해당 문자에 부여할 텍스트를 입력. 브라우저에서는 풍선 도움말로 표시 4.0, 4.0 이상
• nowrap
-----셀 안의 줄바꿈 기능을 해제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행에 들어가는 내용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를 기준으로 설정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TD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셀의 배경으로 그림</caption> <tr> <td width="170" align="left" valign="top">a </td> <td width="170"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>b </td> <td width="170" align="right" valign="bottom">c </td> </tr> <tr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ackground="image1.gif"> 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ackground="image2.gif"> 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ackground="image3.gif" > </td> </tr> </table> 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셀의 배경으로 색 </caption> <tr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align="left" valign="top">왼쪽 위 정렬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>가운데 정렬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align="right" valign="bottom">오른쪽 아래 정렬</td> </tr> <tr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gcolor="#CCCCCC" align="left" valign="top">a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gcolor="#66CCFF" align="center" valign="center">b</td> <td width="170" height="50" bgcolor="#FFCCCC" align="right" valign="bottom">c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a | b | c |
왼쪽 위 정렬 | 가운데 정렬 | 오른쪽 아래 정렬 |
a | b | c |
▣원어 : Table BODY / 시작태그:필요 없음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Table FOOTer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Table HEADer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테이블을 머리말, 본문, 꼬리말로 나누었을 때 <THEAD>는 머리말, <TBODY>는 본문에 해당하며 그리고 <TFOOT>는 꼬리말에 해당 합니다. 이 태그는 시작 태그만 사용해도 무방합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 / justify / char)
-----들어갈 내용의 정렬 상태를 설정 합니다. 3.0 이상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열에 들어가는 내용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를 기준으로 설정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T(HEAD, BODY, FOOT)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 width=500> <caption>TBODY 태그</caption> <thead> <tr bgcolor="#FF9999"><td>THEAD<td>THEAD<td>THEAD</tr> <tfoot> <tr bgcolor="#99CCFF"><td>TFOOT<td>TFOOT<td>TFOOT</tr> <tbody> <tr bgcolor="#0099CC"><td>TBODY<td>TBODY<td>TBODY</tr> <tr bgcolor="#0099CC"><td colspan="3">TBODY</tr> </tbody> <tbody> <tr bgcolor="#0099CC"><td colspan="3">TBODY</tr> <tr bgcolor="#0099CC"><td>TBODY<td>TBODY<td>TBODY</tr> </tbody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를 보면 TFOOT은 먼저 기술 하여도 제일 마지막에 나타나고 TBODY는 본문에 해당하는 중간에 나타납니다.
THEAD | THEAD | THEAD |
TFOOT | TFOOT | TFOOT |
TBODY | TBODY | TBODY |
TBODY | ||
TBODY | ||
TBODY | TBODY | TBODY |
▣원어 : Table Header cell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보통은 표에 가장 윗 줄에 위치하며 각 열의 제목을 나타낼 때 쓰며, 태그자 적용되면 글꼴이 굵게 되고 가운데 정렬이 됩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 / justify / char)
-----행에 들어갈 내용의 정렬 상태를 설정 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axis="셀 이름"
-----셀의 이름을 설정합니다. IE40, 4.0 이상
• axes="관련 내용"
-----셀의 내용과 부합하는 이름을 나열합니다. IE40, 4.0 이상
• backgroungd="이미지 파일 경로"
-----셀 안에 배경이 될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 3.0, 4.0 이상
• bg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의 배경 색상을 지정 3.0, 3.0 이상
• bordercolor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에 색상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dark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을 3차원으로 만들때 사용되는 어두운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bordercolorlight="값" (값 = 색이름 / SRGB)
-----셀 경계선을 3차원으로 만들 때 사용되는 밝은 색을 지정 3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, 4.0 이상
• colspan="숫자"
-----두개 이상의 열의 공간을 하나의 열로 만들 때 사용 3.0, 3.0 이상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rowspan="숫자"
-----두개 이상의 행의 공간을 하나의 행으로 만들 때 사용 3.0, 3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title="제목"
-----해당 문자에 부여할 텍스트를 입력. 브라우저에서는 풍선 도움말로 표시 4.0, 4.0 이상
• nowrap
-----셀 안의 줄바꿈 기능을 해제합니다. 3.0, 3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행에 들어가는 내용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를 기준으로 설정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TH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TH 태그와 TD 태그 비교</caption> <tr> <th>TH</th> <th>TH</th> <th>TH</th> </tr> <tr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/tr> <tr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/tr> <tr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td width="150">TD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를 보면 TH 태그는 진하고 굵게 표시되며 가운데 정렬이 되고, TD 태그는 디폴트를 형성합니다.
TH | TH | TH |
---|---|---|
TD | TD | TD |
TD | TD | TD |
TD | TD | TD |
▣원어 : table CAPTION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함
이 태그는 <TABLE>태그 내에서만 사용 되며, 테이블에 대한 제목이나 설명을 기재 할 때 사용합니다. HTML 3.2 표준이지만 Netscape에서는 Align 속성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left / right)
-----caption 태그의 내용의 정렬 방식을 지정 3.0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class="클래스 이름"
-----스타일 시트의 서식을 적용 4.0, 4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title="제목"
-----해당 문자에 부여할 텍스트를 입력. 브라우저에서는 풍선 도움말로 표시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CAPTION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CAPTION</caption> <tr> <td width="150">TOP</td> <td width="150">caption 정렬 방식</td> </tr> </table>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bottom">CAPTION</caption> <tr> <td width="150">BOTTOM</td> <td width="150">caption 정렬 방식</td> </tr> </table>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left">CAPTION</caption> <tr> <td width="150">LEFT</td> <td width="150">caption 정렬 방식</td> </tr> </table><p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right">CAPTION</caption> <tr> <td width="150">RIGHT</td> <td width="150">caption 정렬 방식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는 caption 태그의 정렬 방식입니다.
TOP | caption 정렬 방식 |
BOTTOM | caption 정렬 방식 |
LEFT | caption 정렬 방식 |
RIGHT | caption 정렬 방식 |
▣원어 : table COLumn GROUP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필요 없음
테이블의 그룹에 대한 속성을 설정 하며, 시작 태그만 사용 합니다. HTML 3.2 표준이지만 Netscape에서는 Align 속성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left / right)
-----colgroup태그의 내용이 어느 쪽에 정렬할 것인지를 지정 3.0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span="열 개수"
-----열의 개수를 지정 3.0, 4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width="픽셀"
-----열의 셀 너비를 설정 4.0, 4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열에 들어가는 내용들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 기준으로 설정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COLGROUP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"1"> <caption align="TOP"> COLGROUP 태그 </caption> <colgroup> <col align="left"> <col align="center"> <colgroup span="2" align="right"> <tr> <td width="200">Align="Left"</td> <td width="200">Align="Center"</td> <td width="200">Align="Right"</td> </tr> <tr> <td width="200">a</td> <td width="200">b</td> <td width="200">c</td> </tr> <tr> <td width="200">a</td> <td width="200">b</td> <td width="200">c</td> </tr> <tr> <td width="200">a</td> <td width="200">b</td> <td width="200">c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:
Align="Left" | Align="Center" | Align="Right" |
a | b | c |
a | b | c |
a | b | c |
▣원어 : table COLumn / 시작태그:필요 함 / 종료태그:사용 금지
각 열에 대한 속성을 설정 하며, 시작 태그만 사용 합니다. HTML 3.2 표준이지만 Netscape에서는 Align 속성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▣속성
• 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left / right)
-----col태그의 내용이 어느 쪽에 정렬할 것인지를 지정 3.0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홈페이지 내에서 한번만 명시 할 수 있습니다. 4.0, 4.0 이상
• char="기준 알파벳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charoff="문자 개수"
-----align 속성값을 "char"로 했을 때 정렬을 기준으로 할 문자를 지정 HTML 4.0 표준
• span="열 개수"
-----열의 개수를 지정 3.0, 4.0 이상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 4.0, 4.0 이상
• width="픽셀"
-----열의 셀 너비를 설정 4.0, 4.0 이상
• valign="값" (값 = top / bottom / center / baseline)
-----열에 들어가는 내용들의 정렬 방식을 위아래 기준으로 설정 4.0, 4.0 이상
예제:
<html> <head> <title>COL 태그</title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 </head> <body bgcolor="white"> <table border=1> <caption align="top">COL 태그</caption> <colgroup> <col align="right"> <col align="center"> <tr> <td width="300">ALIGN="RIGHT"</td> <td width="300">ALIGN="CENTER"</td> </tr> </table> </body> </html> |
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..^^
ALIGN="RIGHT" | ALIGN="CENTER" |
'개발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11에서 Pointer를 이동하는 예제 (0) | 2008.07.01 |
---|---|
초보 Java 웹 개발자들을 위한 학습 로드맵 (0) | 2008.06.30 |
[Spring Framework ①] 개요 (1) | 2008.06.25 |
XP와 VISTA간의 파일 공유 (0) | 2008.06.20 |
Orb.com Overview (0) | 2008.06.19 |